디지타임즈(DGTIMEZ) 이기훈 기자 |
우리에게 제사(의례)란 어떤 의미일까요?
EBS 다큐에서 보았던 내용입니다. 공자님이 활동하던 시절에 한 가문에서 제사가 있었습니다. 화면의 내용상으로는 하늘에 올리는 제사였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그래서 이 가문에서 당시에 가장 의례의 전문가인 공자님을 초대하였습니다. 그리고는 공자님에게 술을 한잔 올리기를 권하였습니다. 이때부터가 제가 인상 깊게 기억하는 장면입니다. 술을 따르는 제관으로써 공자님은 모든 내용을 일일이 묻기 시작합니다.
“술은 이 잔에 따르면 되겠습니까?”“술잔을 여기에 놓으면 되겠습니까?”“절은 4번을 하면 될까요?”모두가 다 안다고 생각하는 절차를 공자님은 일일이 질문하였던 것입니다. 그 제사에 참석한 제관들이 쑥덕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아니 제사의 전문가라면서 저것도 모르는 거야?”“우리가 들었던 공자에 대한 이야기가 잘못된 거 아니야?”
공자님을 모시고 갔던 제자 역시 사람들의 이런 이야기들을 듣고는 돌아와 공자님께 여쭈어 보았습니다.
“스승님 왜 그렇게 일일이 물어보고 행(行)하셨는지요?”공자님이 답했습니다.
“그게 예(禮)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가예(家家禮)를 정말 잘 설명해주는 일화인 듯합니다.
저희 집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 삼헌(三獻)을 올립니다. 술잔을 직접 제사상에 올리는 분을 헌관(獻官)이라고 합니다.
첫 번째 잔은 초헌관(初獻官)이라고 하고 집안의 장손이 올립니다.
두 번째 잔은 아헌관(亞獻官)이라고 하고 집안의 맏며느리가 올립니다.
세 번째 잔은 종헌관(終獻官)이라고 하고 보통 사위들이 올립니다.
이때 초헌은 조상님들에게 맏이로 이어지는 종법질서가 잘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고하는 것이고, 아헌은 그 가족들 역시 평안하게 잘 지낸다는 것을 고하며, 종헌은 사회와도 잘 관계 맺고 있다는 고하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시대가 엄청나게 변화한 지금에 우리는 제사(의례)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여러 가지 답들이 떠오를 것 같습니다.
‘가족의 화목을 위한 의미가 있지’
‘너무 형식에 치우쳐 있어서 지금의 시대와는 맞지 않는 제도야!’‘그래도 전통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니 제사는 지내야지!’ 등등
저는 여기에 질문을 덧붙여 보려 합니다.
‘최초의 제사를 지내는 인간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조상을 섬기는 마음을 잘 구현하는 제사의 형식은 무엇일까?’
‘우리 마음을 계속 이어가게 하는 제사의 형식은 무엇일까?’
“이런 고민들 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가가예(家家禮)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우리 같이 이번 추석은 어떤 의례로 어떤 마음을 지키려 하는지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